올림, 내림, 반올림

  1. 올림 math.ceil()소수점을 기준으로 무조건 올림

    import math
    ceil_value = math.ceil(3.14)  # 4
  2. 내림 math.floor()소수점을 기준으로 무조건 내림

    import math
    print(math.floor(3.14))   # 결과: 3 (소수점 아래 값은 버리고 내림)
    print(math.floor(-3.14))  # 결과: -4 (소수점 아래 값을 버리고 더 작은 정수로 내림)
  3. 버림 math.trunc()는 소수점 이하를 단순히 잘라내는 방식

    import math
    print(math.trunc(3.14))   # 결과: 3 (소수점 이하를 버림)
    print(math.trunc(-3.14))  # 결과: -3 (소수점 이하를 버림)
     

반올림

  1. round() 함수 round(number, digits) 형식으로 사용하며, number는 반올림할 숫자이고, digits는 소수점 아래 몇 자리까지 반올림할지 지정하는 인수

    rounded_value = round(3.14159, 2)  # 3.14
  2. format() 메서드 format()은 숫자를 문자열로 포맷할 때 사용되며, 반올림의 효과도 있다.

    formatted_value = format(3.14159, ".2f")  # '3.14' (문자열로 반환)

아스키코드

1. ord() 함수: 문자 → 아스키 코드

ord() 함수는 하나의 문자를 아스키 코드 값으로 변환해 줍니다.

ord('문자')

예시

print(ord('A'))  # 출력: 65 (문자 'A'의 아스키 코드 값)
print(ord('a'))  # 출력: 97 (문자 'a'의 아스키 코드 값)
print(ord('1'))  # 출력: 49 ('1'의 아스키 코드 값)

max,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