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TCP/IP 에 대해 정리한 페이지 입니다.

TCP/IP 란?

데이터 전송 과정으로 4개의 계층으로 단순화한 모델 사실상 인터넷 표준(De facto Standard) image|500

응용계층 : 웹, 이메일, 파일 전송 등과 같은 서비스의 내용을 결정하는 유일한 계층

데이터 전송은 나머지 3개의 하위 계층**

아래 그림과 같은 순서대로 데이터는 패키징되어 이동하게 된다. image|500

프로토콜의 조합

전송계층에서는 TCP, 인터넷 계층에서는 IP를 사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는 유선LAN에 사용되는 이더넷 프로토콜, 무선 LAN에서는 Wi-Fi 기술 사용

데이터 전송 계층 주소

택배에 나와있는 배송지 처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고유 주소가 필요하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계층 마다 인캡슐레이션 과정이 진행된다. image|575

MAC 주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OSI Layer2) 주소로 Ethernet 헤더에 포함 되 물리적 장비를 식별한다. 48bit로 구성되고 16진수 표기법을 사용

이더넷 프로토콜 (L2)

image|575 L2 프로토콜

유선(Ethernet 802.3)으로 보내고 무선(802.11)으로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계층만 가능하다.

LAN 통신만 가능하다.

IP 주소 (L3)

image|500 인터넷 계층 (OSI Layer3) 주소로 IP 헤더에 포함 되 컴퓨터를 식별

논리적인 주소로 설정 및 변경 가능

서로 다른 IP 끼리 통신을 구현

IP 프로토콜

image|500

L3 헤더에 들어있는 IP를 가지고 WAN 구간에서 통신이 되게 해준다.

포트 번호 (L4)

  • 전송계층 (OSI 4계층) 주소로 TCP, UDP 헤더에 포함 되 수신 컴퓨터에 도착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 분배, 즉 포트번호를 보고 수신 텀퓨터에 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데이터 수신지로 지정한다.
  • 0 ~ 1023 번호는 네트워크 서비스용으로 미리 예약된 번호다.

TCP, UDP

image|500 TCP를 훨씬 많이 사용한다.

UDP는 데이터를 받고 끝이라 필요할 때만 사용한다. (신뢰성이 떨어진다)

TCP/IP 응용 계층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

TCP/IP 프로토콜 구현

image|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