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가 자신의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대상에 도달하려면 기본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라우터 또는 L3스위치를 기본 게이트웨이로 사용한다.
한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내려고 할 때 대상이 내부 네트워크 인지 또는 외부 네트워크 인지 확인한다.
- 외부 네트워크 대상이면 직접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를 위해 기본 게이트웨이 사용한다.
- 호스트는 ARP를 이용해 기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를 찾는다.
- 기본 게이트웨이를 대상으로 이더넷 프레임 생성하고 , IP패킷은 동일하게 유지한다.
Gateway Redundancy (가상 게이트웨이)
컴퓨터 한대가 SW에 연결된 상태 가운데에는 컴퓨터가 Default GW로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를 가진 두대의 L3-SW 동작 L3-SW 뒤에는 인터넷에 연결된 라우터 동작
다음과 같을 땐 장애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상 게이트웨이를 구성한다.
SW1과 SW2 사이에 가상의 GW를 생성하고 IP 192.168.1.3 할당 컴퓨터는 가상의 GW를 Default GW로 설정해라!!!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스위치가 가상의 GW IP 와 MAC을 갖고 GW 로 동작한다.
Gateway Redundancy - HSRP (Hot Standby Routing Protocol)
Cisco 전용 Gateway Redundancy 기술로 최소 2개의 장비가 필요하다. 한대는 active 한대는 standby 역할을 가진다. Active 역할의 장비가 가상 게이트웨이의 IP와 vMAC을 갖고 패킷을 처리한다!
Active 선점 과정 높은 Priority 값을 가진 장비가 초기 협상에서 Active 선점, 동일할 경우에는 높은 IP를 갖는 장비가 선점한다.
VRRP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HSRP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표준 Gateway Redundancy 기술이다. 명령어가 다르다.
- Preempt 자동 활성화
- Default Priority 값 100
- priority 높은쪽이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