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네트워크 기본 설명 페이지 입니다.
네트워크란?
네트워크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방법/기술
따라서 네트워크 = 모든 IT 기술의 기본이다!!
PC 와 PC들 간에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망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규칙 및 약속이 중요시 된다.
이런 규칙을 Protocol 이라 한다. (TCP, IP, HTTP 등)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 PC에서 다른 PC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패키지화 하는 과정
- 최초 생성되는 데이터는 수신 PC로 전송될 때 까지 여러번의 패키징 과정(Encapsulation)후 전기적 신호로 전달
- 패키징이 진행되는 각 단계를 ==계층(Layer)이라 하며, 각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Header)**==로 패키징
- 계층별 패키징 된 데이터를 ==PDU(Protocol Data Unit)==라 부르고, 계층 마다 PDU를 부르는 명칭은 다름
- 수신 PC는 패키징 안에 있는 데이터를 확인 하기 위해 ==패키징 해제 과정(Decapsulation)== 후 데이터 확인
네트워크 유형
여러가지만 있지만 LAN, WAN 2가지만 기억하자.
LAN(Local Area Network) :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WAN(Wide Area Network): 회사와 회사간의 통신할 때 (ISP에서 회선 제공)
LAN
다른 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는 분리된 소규모 네트워크. (End-Point Device)
스위치(Switch)는 LAN 환경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전송 장비
-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이더넷 (Ethernet / 802.3)
- 스위치는 데이터의 이더넷 헤더 (14byte) 정보를 읽어 데이터 처리
- Destination MAC Address (48bit)
- Source MAC Address (48bit
LAN 구축은 확장성, 이중화를 고려한 네트워크 구축이 핵심
WAN
서울에서 부산까지 직접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따라서 LAN 과 LAN을 연결해주는 WAN을 사용한다.
- ISP(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 통해서 가능하다. (KT, SKT ..)
라우터(Router)는 ISP에서 제공하는 WAN 회선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전송장비
- IPv4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 데이터의 IP헤더(20 ~ 60 byte) 정보를 읽는다.
데이터 전송 방식
-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1:all)
- Lan 환경의 모든 PC들에게 데이터 전송
- Router는 처리하지않고 Drop한다.
- 유니캐스트 (Unicast) (1:1)
-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정확한 데이터 전달 방식
- 멀티캐스트 (Multicast) (1:N)
- Multicast는 Switch 및 Router에서 기능을 지원해야 처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