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
취업 전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정리한 페이지 입니다.
여행객을 위한 현지인 친구 매칭 서비스 개발
-
역할 : 팀장, DevOps 엔지니어
-
기간 : 2024.06.10 ~ 07.19
-
기술 스택 : Next.js, Spring Boot, AWS S3, Proxmox, Kubernetes, Jenkins, ArgoCD, Harbor, Grafana, Slack
-
주요 성과
- Proxmox 기반 홈 클라우드 환경 구축 및 24시간 운영 - 백엔드 모듈화를 통한 MSA 기반 서비스 설계
- Jenkins, ArgoCD, Harbor를 활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Swagger를 통한 통합 API 문서화
- Kubernetes를 활용한 배포 및 카나리 배포 전략 적용
- Grafana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빌드 및 배포 상황 Discord 알림 시스템 구축 -
아키텍쳐
-
회고 현대적인 웹 서비스 개발 및 운영의 전 과정을 경험하며,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Canary 배포 방식을 터득하였고, MSA 환경에서의 CI/CD 구축과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을 통해 DevOps의 실제 적용 방법을 체득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개발자와 엔지니어 간의 협업 과정에서 초기에 소통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매일 오전 1시간씩 상호 이해를 위한 회의와 기본 지식 습득을 위한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기술적 역량뿐만 아니라 팀 내 의사소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가상 기업 네트워크 및 ISP 구축
-
역할 : 총괄 책임자 (15명 팀)
-
기간 :
-
기술 스택 : Cisco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N9K), OSPF, BGP, ACL, VPN, Ansible
-
주요 성과 - OSPF, BGP 등 고급 라우팅 프로토콜 심화 학습 및 실습
- 복잡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설계 및 구현 (OSPF Full-Mesh, BGP Route Reflector)
- Cisco 장비를 활용한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ACL 설정, 라우팅 정책 수립 등 네트워크 제어 및 보안 기술 적용
- Ansible을 통한 네트워크 자동화 구현
-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구성 및 가상화 환경 구축 -
아키텍처
-
회고 네트워크 엔지니어링의 기초와 실무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복잡한 토폴로지 설계와 구현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이 성장했으며,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와 보안의 중요성을 체감했습니다. 팀 총괄 역할을 수행하며 리더십 역량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AWS 리전 간 DR 구조 구축
-
역할 : 팀장
-
기간 : 2023.09.08 ~ 11.10
-
기술스택 : AWS (RDS, EKS, Route53), Terraform, Shell Script, Jenkins, Harbor, ArgoCD, Nginx-Ingress-Controller, AWS CloudWatch, Grafana
-
주요 성과 - AWS 리전 간(도쿄, 서울) DR 구조 설계 및 구축
- Terraform과 Shell script를 활용한 인프라 자동화
- Jenkins, Harbor, ArgoCD를 이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AWS 서비스를 활용한 3tier 서비스 배포
- AWS CloudWatch와 Grafana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네트워킹, 리눅스, 가상화, Kubernetes 등 클라우드 관련 기술 심화 학습 -
아키텍쳐
-
회고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인프라 설계, 구축, 운영 능력을 종합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IaC와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을 통해 자동화의 중요성을 체감했으며, DR 구조 설계를 통해 고가용성과 확장성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얻었습니다.
팀장으로서 프로젝트를 이끌며 기술적 역량과 리더십을 동시에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